14284 : 간선 이어가기 2 - Python

2024. 11. 12. 11:59· Problem Solving/백준
목차
  1. 접근
  2. 풀이
  3. 전체 코드

14284 : 간선 이어가기 2

접근


처음엔 단순하게 간선과 가중치가 나오길래 최소 신장 트리를 생각했었다. 하지만, 모든 정점을 연결하는 것이 아닌 특정 정점 두 개만 연결시켜야 했고 최소신장트리로는 풀 수 없음을 느꼈다.

 

그 다음으로 생각한 것은 유니온 파인드인데, 이것도 두 정점을 연결했을 때 최소 비용임을 보장할 수 없다.

 

마지막으로 생각한 것은 다익스트라였다. 모든 정점을 다 고려해도 두 정점 간의 최소 비용으로 연결을 보장한다.

간선 연결 과정에서 최악의 형태는 1자형태로 쭉 뻗은 그래프 형태가 되는데, 그렇게 되면 간선이 N - 1개가 된다. 그렇다면 최대 100,000개의 간선에는 중복이 있을 수 밖에 없다. 따라서, 그래프 저장시 가중치가 더 낮은 간선 취하면 될 듯 싶었다.

풀이


풀 때는 중복되는 간선이 많을 수 있어 배열방식으로 최솟값 갱신하는 방식이 더 빠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, 의외로 리스트에 모든 간선 다 저장하는 방식이 더 빨랐다.

아마 추측해보면, 배열 방식을 사용했을 때는 각 정점마다 N - 1개의 간선을 모두 확인하고 넘어가기 때문인 것 같다.

전체 코드


배열 방식

import sys
from heapq import heappop, heappush
# print = sys.stdout.write
input = sys.stdin.readline
# 반드시 아래 두 라인 주석 처리 후 제출
f = open("input.txt", "rt")
input = f.readline
# 반드시 위 두 라인 주석 처리 후 제출
INF = float("inf")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[INF] * (N + 1) for _ in range(N + 1)]
for i in range(1, N + 1):
graph[i][i] = 0
for _ in range(M):
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[a][b] = min(graph[a][b], c)
graph[b][a] = min(graph[b][a], c)
S, T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ef main():
print(dijkstra())
def dijkstra():
dist = [INF] * (N + 1)
dist[S] = 0
pq = [(0, S)]
while pq:
cost, to = heappop(pq)
if to == T:
return dist[T]
for next in range(1, N + 1):
if next == to or graph[to][next] == INF:
continue
next_cost = cost + graph[to][next]
if next_cost >= dist[next]:
continue
dist[next] = next_cost
heappush(pq, (next_cost, next))
if __name__ == "__main__":
main()

리스트 방식

import sys
from heapq import heappop, heappush
# print = sys.stdout.write
input = sys.stdin.readline
# 반드시 아래 두 라인 주석 처리 후 제출
f = open("input.txt", "rt")
input = f.readline
# 반드시 위 두 라인 주석 처리 후 제출
INF = float("inf")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[] for _ in range(N + 1)]
for _ in range(M):
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[a].append((b, c))
graph[b].append((a, c))
S, T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ef main():
print(dijkstra())
def dijkstra():
dist = [INF] * (N + 1)
dist[S] = 0
pq = [(0, S)]
while pq:
current_cost, current = heappop(pq)
if current == T:
return dist[T]
for next, next_cost in graph[current]:
total = current_cost + next_cost
if total >= dist[next]:
continue
dist[next] = total
heappush(pq, (total, next))
if __name__ == "__main__":
main()

'Problem Solving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1 : 암호코드 - Python  (1) 2024.11.11
1245 : 농장 관리 Python  (0) 2024.08.26
2981 : 검문 - Python  (0) 2024.06.18
28446 : 좋은 팀이란? - Python  (0) 2024.06.14
  1. 접근
  2. 풀이
  3. 전체 코드
'Problem Solving/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2011 : 암호코드 - Python
  • 1245 : 농장 관리 Python
  • 2981 : 검문 - Python
  • 28446 : 좋은 팀이란? - Python
greatwhite
greatwhite
greatwhite
우직하게
greatwhite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Projects
      • 스위프] Woory
    • Python
    • Java
      • Spring
    • JPA
    • Problem Solving
      • 백준
      • 프로그래머스
    • Today I Learned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implementation
  • knapsack
  • @default
  • vi
  • 그리디
  • math
  • Mermaid
  • BFS
  • 백준
  • sql
  • 비트마스킹
  • 스프링
  • 롬복
  • 파이썬
  • Euclidean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다익스트라
  • 자바
  • backtracking
  • dfs
  • spring
  • erd 문법
  • dp
  • 오블완
  • MVC
  • python
  • 티스토리챌린지
  • Java
  • JPA
  • pigeonhole principle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v4.2.1
greatwhite
14284 : 간선 이어가기 2 - Python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